The Korean Society for Western Medieval History

본회는 서양중세사의 연구와 이와 관련된 학술활동 및 정보교류를 목적으로 한다.

학회지/연구발표


pISSN: 1229-4454

Korea Society for Western Medieval History , Vol.50. (2022)
pp.139~173

DOI : 10.21591/jwmh.2022.50.2.139

조반니 폰타노와 르네상스 덕의 정치학

임병철

(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조반니 폰타노는 르네상스기 나폴리를 대표하던 휴머니스트 문인이었다. 15 세기 중반 나폴리를 지배하던 아라곤 가문에 출사한 이래, 그는 도시 최고의 지 식인자 정치가 그리고 교육가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본고는 이와 같은 폰타노의 다양한 삶의 궤적을 염두에 두고, 그가 미래의 군주를 위해 저술한 초기 저작 군주론을 새로운 시각에서 읽어보려는 시도이다. 군주에게 필요한 개인적 덕성 을 제시하고 그것을 갖춘 이상적인 군주의 모습을 그렸다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이 작품은 소위 ‘군주보감’의 전형으로 이해되어 왔다. 하지만 본고는, 폰타노가 덕 자체보다 덕의 재현이라는 문제에 천착했고, 또 그러한 그의 태도에는 현실 정치 세계에서 절대적인 윤리적 기준이 존재할 수 없다는 실용적인 관념이 자 리 잡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결론적으로 이와 같은 논의에 기초에 본고는 폰 타노의 실용적인 정치 관념이 마키아벨리의 정치사상으로 계승되면서, 소위 르 네상스기의 덕의 정치학이 현실주의 정치학으로 변모하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주장한다.

Giovanni Pontano and the Renaissance Virtue Politics

Byung-Chul LIM

Giovanni Pontano was the most representative of the Neapolitan humanists during the Renaissance. Ever since he had entered the Aragonese court in the mid of the fifteenth century, he pursued a remarkable career as a politician, a teacher and the top intellectual of the city. In keeping these various traits of his life in mind, this study attempts to reread his moral treaty De principe , which he wrote for the future king, from a new perspective. Due to the fact that it proposed the individual virtues for the prince and tried to depict what the ideal prince is, the work has been understood as a typical of so called the speculum principum . But the present study argues that Pontano put much attention to how to represent the virtue rather than what the virtue is, and that it shows his very practical viewpoint which assumes that there is no absolute ethical standard in real world. Based upon these observations, this study concludes that Pontano’s realistic political view had been inherited to Machiavelli’s political thoughts, and that in doing so it helped pave the way for the Renaissance virtue politics to turn itself into more realistic one.

Download PDF list